단 9:23
곧 네가 기도를 시작할 즈음에 명령이 내렸으므로 이제 네게 알리러 왔느니라 너는 크게 은총을 입은 자라 그런즉 너는 이 일을 생각하고 그 환상을 깨달을지니라.
금식 : 신앙적 목적에서 일정 기간 동안 식사를 중지하는 행위로써, 구약에서는 계시를 받을 때, 죄에 대한 회개, 탄원, 슬픔을 표현할 때 행하였다.
1) 삼상 7:6"그들이 미스바에 모여 물을 길어 여호와 앞에 붓고 그날 종일 금식하고 거기에서 이르되 우리가 여호와께 범죄 하였나이다 하니라 사무엘이 미스바에서 이스라엘 자손을 다스리니라."
미스바는 베냐민 지파의 영토에 속한 전략상 요충지이다.
7장은 이스라엘의 개혁을 여는 장으로 우상을 제거하고 여호와 중심의 삶을 살도록 권고한다.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사무엘은 사사로서 곤경에 처한 이스라엘의 승리를 위하여 먼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우상을 제하여 버리고, 기도하며, 예배를 드리고, 금식하기를 권장하였다.
사무엘은 미스바에서 거국적인 회개와 영적 각성을 촉구하여 본래적인 삶의 지향점을 다시 한번 제시해 주고 있다.
8절에 백성이 사무엘에게 요구한다. 여호와께 쉬지 말고 부르짖어 구원하기를 이에 사무엘이 번제를 드리고 여호와께 부르짖으매 이에 하나님께서 응답하셨고,
10절에 사무엘이 번제를 드릴 때에 블레셋에 싸우려고 이스라엘 가까이 오매 하나님께서 큰 우레를 발하여 그들을 어지럽게 하시고 블레셋은 패한다.
성도도 하나님보다 더 크게 보이고 더 귀중하게 여기는 것이 있는가, 우상 숭배하고 있는가 뒤돌아보고 그런 것이 있다면 먼저 제하여 버리고 금식과 회개기도와 예배를 드리고 하나님께 부르짖어 회복하는 역사가 있어야 한다.
2) 삼하 12:15-25 다윗의 금식기도
다윗은 밧세바의 간음 사건과 밧세바의 남편 우리아의 모살 사건에 대해 나단의 죄에 대한 질책에 바로 용서를 구하는 다윗은 하나님의 용서를 받게 된다.
그러나 죄인은 사랑하시되 (겔 18:23) 죄는 미워하시는 하나님이시기에 그 벌은 제거되지 않았다.
다윗은 밧세바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기의 죽어가는 모습 앞에서 금식하며 하나님의 주권적인 뜻 앞에 겸손히 무릎 끊고 간절히 기도한다.
다윗의 회개는 죄를 뉘우치는 것을 넘어 하나님의 말씀과 뜻에 절대 순종하는 전인격의 변화를 드러낸다.
이처럼 우리도 살면서 알게 모르게 짓는 죄에 대해 깨달았을 때에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채찍에 낙심하거나 실망하여 원망하지 말자 이는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이기 때문에 하나님의 구체적인 간섭에 감사하며 하나님의 사랑의 표시임을 깨달아 다윗처럼 죄를 뉘우치고 절대 순종과 복종으로 말씀에 더욱더 매진하여 같은 범죄를 저지르지 않기를 깨어 기도하여야 한다.
3) 왕상 21:9, 12 아합 왕과 잘못된 금식
이스라엘의 토지는 개인의 소유이기 이전에 선조와 후손의 소유이며 하나님께 속한 것이므로 그 매매가 극히 제한적이었다.(민 27:1-11)
이를 알면서도 아합은 나봇의 포도밭을 탐하였다.
아합의 아내 이세벨이 아합의 이름으로 그 동네의 장로와 귀인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나봇이 하나님과 왕을 저주하였다고 거짓 글을 보내어 그들로 하여금 금식을 선포하였고, 나봇을 거짓 증인까지 내세워 그를 돌로 쳐 죽였다.
불의한 탐욕으로 나봇을 죽인 아합과 이세벨은 후에 비참하게 죽는다.
4)에 4:3, 16 에스더와 이스라엘 민족의 금식
하만이 모르드개와 그의 민족을 죽이기 위해 꾀한 일에 대해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죽으면 죽으리라'는 결단으로 하나님 앞에 구원의 손길을 바라는 간절한 금식기도를 함으로 이스라엘을 구원으로 이끄는 내용이다.
5) 사 58:1-7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금식은
이스라엘이 죄악과 영성이 결여되고 단지 껍데기만 남은 이스라엘의 금식을 비판한다.
참된 금식은 종교적인 의식에만 치우치지 말고 이웃에 대한 적극적인 사랑의 행위까지도 포함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자비를 베푼 사마리아인의 비유(눅10:25-37)
6) 렘 14:12 "그들이 금식할지라도 내가 그 부르짖음을 듣지 아니하겠고 번제와 소제를 드릴지라도 내가 그것을 받지 아니할 뿐 아니라 칼과 기근과 전염병으로 내가 그들을 멸하리라.
예레미야의 중보기도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이 금식기도 할지라도 듣지 아니하시겠다고 하신다.
예레미야의 중보기도,
첫 번째 기도(14:7-9) 이스라엘 백성에 대한 죄의 고백과 하나님의 용서를 탄원하며,
두 번째 기도(14:13) 백성들의 죄를 변명하면서 다시 한번 죄의 용서를 간원하며,
세 번째 기도(14:19-22) 하나님의 자비를 호소
하나님의 응답은 (14:10-12, 18, 15:1-9) 하나같이 '이 백성을 위하여 복을 구하지 말라'는 책망이며, 오히려 더욱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심판을 선포하고 있다.
유다 멸망은 우상숭배에 있음을 지적한다.
결국 유다의 멸망이라는 피할 수 없는 비극적 결과를 초래하였다.
7) 단 9:3"내가 금식하며 베옷을 입고 재를 덮어쓰고 주 하나님께 기도하며 간구하기를 결심하고
다니엘은 70년 동안의 포로 생활에 대한 예레미야의 예언을 깨닫고 민족의 회복을 위해 금식 기도한다.
다니엘의 베옷을 입고 하는 금식기도는 진실한 유대 민족의 회개와 겸손의 외적 표현인 중보기도이다.
단 9:23"곧 네가 기도를 시작할 즈음에 명령이 내렸으므로 이제 네게 알리러 왔느니라 너는 크게 은총을 입은 자라 그런즉 너는 이 일을 생각하고 그 환상을 깨달을지니라."
다니엘의 기도에 대한 하나님의 신속한 응답을 보여주며,
참된 믿음의 기도가 응답받는 장면과 응답의 구체적인 내용이다.(24-27)
8) 마 6:16-18 금식에 대하여
금식의 주요 목적은 하나님과의 관계 재정립이며, 이웃사랑, 흉악의 결박에서 풀려나기 위한 것이다.
금식은 자신의 죄를 고백하면서 겸손한 자세를 나타내 보이기 위해, 주 앞에서 더욱 겸비하기 위해 그리고 헤어날 수 없는 큰 고민과 위기와 절망에서 벗어나기 위해, 하나님께 구원을 호소하기 위한 방법이다.
금식은 하나님을 향하여하는 행위이므로 사람에게 자랑하기 위해 슬픈 기색을 낼 필요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