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5:3-6
심령(虛心)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天國)이 그들의 것임이요.
애통(哀慟)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위로(安慰)를 받을 것임이요.
온유(温柔)한 자는 복이 있나니 그들이 땅을 기업으로 받을(承受) 것임이요.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飢渴慕義) 복이 있나니 그들이 배부(飽足)를 것임이요.
심령(虛心) : 허심하다. 겸허하다.
심령은 재산이 없는 자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눅6:20에 누가는 가난한 자가 복이 있다고 말씀하고 있다.
심령이 가난한 자나 물질이 없어 가난한 자나 하나님의 구속을 필요로 하는 모든 자를 가리킨다.
즉 죄의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음을 깨닫고 오직 구주를 기다리며 사는 자를 가리킨다.
이러한 자 주님을 기다리며 하나님의 말씀을 두렵고 떨림으로 기다리는 자 이런자에게 하나님이 임하신다.
모든 사람의 삶의 영역은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다.
특히 성도들은 성전에서의 삶을 중심으로 자신들의 생활 속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성도는 하나님의 말씀을 중심으로 하는 계시 중심적 삶을 살아야 한다.
믿음과 신실성이 결여된 예배, 습관적인 예배는 하나님을 기쁘게 해 드리기는 고사하고 도리어 하나님의 진노만을 촉발시킬 것이다.
참된 예배는 그 의미가 실생활 속에서 그대로 구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심령이 가난한 자가 복이 있나니에서 심령이 가난한 자가 채워질 수 있는 것은 주의 말씀 밖에 없음을 말한다.
고후 6:10"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고 가난한 자 같으나 많은 사람을 부요하게 하고 아무것도 없는 자 같으나 모든 것을 가진 자로다."
천국이 그들의 것이요
마태는 메시야께서 통치하시는 나라를 '천국'으로 나타낸다.
천국은 누가 들어가나?
1) 마 5:20 서기관이나 바리새인보다 나은자
서기관은 구약 율법에 능통하며 구약의 구전에 해박한 지식을 가진 일종의 율법 해석자요 교사였다. 그들은 율법사로 불러지기도 했고 랍비로 호칭되기도 하였다.
바리새인은 '성별 된 자'로서 율법과 구전된 조상들의 모든 전통을 엄격히 지켰으나 그들의 분리주의는 율법의 순수한 정신과 내면적 경건을 무시하고 형식주의적인 위선과 외모를 중시하는 외식주의로 전략하여 그리스도의 가르침과는 거리가 멀었다.
주님께서는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의 가르침대로 살아야 하지만 그들의 행위는 본받지 말라고 하셨다.(마 23:2-3)
2) 마 7:21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자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들어갈 것이 아니라고 하셨다.
주여 주여 부르고 주의 이름으로 권능을 행하였는데 그들은 왜 못 들어 가는가?
23절에 주님은 그들을 불법을 행하는 자들이라고 하셨고 그런 그들을 모른다고 하셨다.
들어갈 수 있는 자는 하나님께 순종하고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자가 들어갈 수 있다고 하셨다.
살전 5:16-18"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3) 마 18:3 어린아이와 같이 겸손한자
겸손이란 오직 하나님의 뜻에 절대 순종하고 하나님의 보호 아래 살고자 하는 신뢰와 믿음을 바탕으로 하는 그런 자를 말한다.
4) 요 3:5 회개하여 거듭난 자
회개란 자신이 가려던 길에서 돌아서다 돌이키다이다. 잘못했다고 알았을 때 돌아설 수 있는 용기 자기 죄에 대한 고백이다. 그런 자가 물과 성령으로 거듭날 수 있다.
천국(天國)은 어떻게 들어가는가?
마 11:12" 세례 요한의 때부터 지금까지 천국(天國)은 침노를 당하나니 침노하는 자는 빼앗느니라."
침노는 중국 성경에서는 노력이라고 되어 있고 천국(天國)은 노력하는 자가 들어간다고 되어 있다.
마 11:12에서의 침노는 '용기 있는 자', '강한 자'로 목적한 바를 쟁취하기 위해 결사적인 노력과 지혜를 아끼지 않는 자를 가리킨다.
노력은 폭력, 무력을 사용하여 돌파하거나 힘으로 강력하게 밀어붙이는 행위를 뜻한다.
구원을 얻고 천국(天國)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모든 일에 심혈을 기울어야 한다는 것이다.
천국(天國)은 어디에 있나?
눅17:21"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하나님이 계신 곳이면 어디나 다 하나님 나라라는 것이다.
성도가 세상을 떠난 후 어디에 가나?
요 14:1-4 주님이 계신 곳에 성도도 함께 있음.
예수님을 따르는 길이 곧 하나님께 가는 길이기 때문에 우리도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의 길을 따라가면 된다.
주님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기 때문이다.
애통(哀慟) 슬퍼하고 탄식하다. 매우 슬퍼하다.
1) 전 3:4"울 때가 있고 웃을 때가 있으며 슬퍼(哀慟)할 때가 있고 춤출 때가 있으며, "
장사 지낼 때와 혼인할 때를 대비하여 말씀하고 있다.
2) 마 9:15"예수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혼인 집 손님들이 신랑과 함께 있을 동안에 슬퍼(哀慟)할 수 있느냐 그러나 신랑을 빼앗길 날이 이르리니 그때에는 금식할 것이니라.
예수님이 신랑이며 제자들은 손님인데 함께 있는 동안 금식을 한다는 것은 적절한 행동이 아니다.
그러나 주님이 십자가를 지실 때는 금식하여야 한다.
지금 우리 안에 주님이 안 계시다면 그때는 금식하며 회개 기도하여야 한다.
3) 눅6:25"화 있을진저 너희 지금 배부른 자여 너희는 주리리로다 화 있을 진저 너희 지금 웃는 자여 너희가 애통 하(哀慟)며 울리로다.
화 있을진저는 화로다. 인간의 힘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극도의 슬픔이나 주체할 수 없는 분노를 표현한다.
여기 웃는 자는 육적이고 세상적인 것에 즐거움을 찾는 자들을 가리킨다.
주님의 재림 때 이들은 울 수밖에 없다.
4) 고후 7:7"그가 온 것뿐 아니요 오직 그가 너희에게서 받은 그 위로로 위로하고 너희의 사모함과 애통(哀慟)함과 나를 위하여 열심 있는 것을 우리에게 보고함으로 나를 더욱 기쁘게 하였느니라.
고린도 교인들이 바울이 공격당할 때 옹호하지 못한 것에 대한 통회(哀慟)하는 마음을 갖게 되었는데 지금은 바울이 고린도 교인을 다시 찾은 기쁨을 나타내고 있다.
위로(安慰) : 위로하다 위문하다.
하나님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하나님이시요 자비의 아버지시요 모든 위로의 하나님이시다.
그리스도의 고난이 우리에게 넘친 것 같이 우리의 위로도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넘친다.
바울이 당한 환난의 원인은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고난을 감수하려는 의지 때문이며 그 목적은 성도의 구원과 위로를 얻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영원한 위로와 좋은 소망을 주신 하나님께 날마다 감사하며 성도는 우리의 삶 전체가 선한 행위가 나타날 때까지 어려움과 위험 속에서도 흔들리지 말고 끝까지 하나님의 위로를 바라보는 성도가 되어야 한다.
온유(温柔) 따뜻하고 상냥하다. 온유하다.
1) 골 3:12"너희는 하나님이 택하사 거룩하고 사랑받는 자처럼 긍휼과 자비와 겸손과 온유와 오래 참음을 옷 입고,
성도는 하나님이 택한 사람이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예수님을 믿든 안 믿든) 온유함으로 대해야 한다.
2) 딤전 6:11"오직 너 하나님의 사람아 이것들을 피하고 의와 경건과 믿음과 사랑과 인내와 온유를 따르며, "
이것들은 멸망의 요인들을 피하고 온유를 따르라는 것이다.
3) 약 1:21"모든 더러운 것과 넘치는 악을 내버리고 너희 영혼을 능히 구원할 바 마음에 심어진 말씀을 온유함으로 받으라."
하나님의 말씀을 받은 자는 온유함으로 행하여야 한다.
4) 벧전 3:4"오직 마음에 숨은 사람을 온유하고 안정한 심령의 썩지 아니할 것으로 하라 이는 하나님 앞에 값진 것이니라."
안정은 마음이 조용하고 차분하며 산만하지 않아 아주 평안한 상태를 뜻한다.
기업으로 받을(承受) 인수하다. 승낙하다.
'상속자', '상속자가 되다', '상속하다'는 뜻. 국가 간의 평화를 의미하지만 근본적으로는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 회복으로 인한 궁극적인 평화를 의미한다.
천국의 기업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고 온유한 자에게 주어질 것이다.
온유한 자는 그리스도에게(마 21:5) 속해 있기 때문에,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나라를 상속받게 될 것이다.
의에 주리고 목마른 자는(飢渴慕義) 의를 사모하고 의에 갈증을 느끼는 자
심각한 영적 기근을 말한다.
영적 기근을 채우기 위해 말씀을 사모하고 더욱더 하나님을 알고자 힘쓰며 기도에 매진하여야 한다.
배부(飽足)를 것이요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의 생명수와 하늘 양식으로 채워주신다는 의미이다.
산상수훈은 천국 시민으로 부름 받은 성도들의 삶의 원리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팔복은 행복 그 자체를 얘기하고 있으며, 하나님의 성실한 성도의 신앙 자세를 그리고 영원한 천국의 기쁨을 나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