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12:31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사람에 대한 모든 죄와 모독(褻瀆)은 사하심을 얻되 성령을 모독(褻瀆)하는 것은 사하심을 얻지 못하겠고, (마 3:28-29, 눅12:10)
모독(褻瀆)
세상 : 모독하다. 얕보고 깔보다
성경 : 더럽혀지다. 타락하고 불경건하며 부패하다. 악한 말이나 거짓말로 심한 인격적인 모독을 주는 행위를 뜻함. 주로 하나님의 신성을 훼손하는 신성 모독적 행위를 가리킨다.
모독(褻瀆)의 행위를 살펴보면
1) 자녀들을 몰렉에게 줌(레 18:21, 20:3)
몰렉이란 '통치하다', '왕이 되다'는 뜻 암몬 족속의 국가 신을 가리킨다.
레 20장은 18,19장의 범죄의 연장으로 각 범죄에 따른 하나님의 형벌에 초점을 맞췄다. 몰렉에게 자녀를 제사하는 일에 직접, 간접적인 동참자에 대한 징계에 대해서도 하나님의 엄벌에 대해서 쓰여있다.
결론: 이러한 행위는 하나님을 더럽히는(褻瀆) 행위로써 백성중에서 끊쳐짐
2) 여호와의 성물을 더럽히는 행위(레 19:8, 22:2, 22:15)
성물이란 '거룩하다'. '구별하여 드리다'라는 뜻. 하나님께 구별하여 드린 각종 제물이나 성막 등의 기구들을 가리킨다.
결론 : 백성중에서 끊쳐짐
3) 하나님의 이름으로 거짓 맹세(레 19:12)
결론 하나님의 이름을 더럽히는 행위
4) 하나님의 이름을 모독(褻瀆)하고 저주하면(레 24:11-16) : 모독(褻瀆)한 자를 죽임
본토인이든 타국인이든 하나님을 모독(褻瀆)하면 (민 15:30) : 백성중에서 끊쳐짐
결론 : 자기 죄악이 자기에게로 돌아가서 온전히 끊어짐( 민 15:31)
5) 다윗의 범죄(삼하 12:14)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취하고 우리아를 죽음에 이르게 함. 이런 행위를 하나님을 업신여겼다고 말씀하심(삼하 12:10),
다윗이 바로 회개(삼하 12:13) 하나님이 용서하심.
다윗의 이런 행위는 하나님의 원수에게 하나님을 비방할(褻瀆) 거리를 만들어 주었다.
결론 : 다윗의 아들이 죽음.
6) 하나님의 성전에서 선지자나 제사장의 사악한 행위 곧 우상숭배(렘 23:11)
황금만능주의에 빠진 종교지도자들에 대한 타락과 잘못된 선지자나 제사장으로 인해 이러한 일들이 온 땅에 퍼짐(렘 23:15) :잘못된 영적 지도자들이 끼치는 심각한 악영향이 백성에게까지 미침을 볼 수 있다.
결과 : 선지자에게 쑥을 먹이고 독한 물을 마시게 하리라
7) 제사장의 죄(말 1:12)
하나님보다 제물을 더 사랑한 제사장들에 의해 하나님이 모독(褻瀆)을 당함을 말함(말 1:12)
결과 : 너희 중에 성전 문을 닫을 자가 있었으면 좋겠다. 내가 너희를 기뻐하지 아니하며 너희 손으로 드리는 것을 받지도 아니하겠다.
8) 백성의 죄(말 2:11)
우상숭배자와 결혼하므로 하나님의 사랑하시는 성결을 욕되(褻瀆) 게 함.
9) 너희로 인하여 이방인 중에서 하나님의 이름이 모독(褻瀆)을 받음.
말씀을 지키지 않으므로
레 21장은 제사장이 지킬 규례에서 하나님이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하라고 강조하고 계시다.
1) 제사장의 규례 (레 21:6) :거룩하고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褻瀆) 하지 말며
2) 대제사장의 규례(레 21;12) : 일체의 세속 관습에 젖어서는 안 됨 이는 하나님의 성소를 더럽히는(褻瀆) 행위
3) 제사장의 신체 조건(레 21:23)
결론: 하나님은 거룩하시기 때문에 성도에게도 거룩함을 요구하고 계신다. (벧전 2:5, 9)
잠 30:7-9 " 내가 두 가지 일을 주께 구하였사오니 내가 죽기 전에 내게 거절하지 마시옵소서 곧 헛된 것과 거짓말을 내게서 멀리 하옵시며 나를 가난하게도 마옵시고 부하게도 마옵시고 오직 필요한 양식으로 나를 먹이시옵소서 혹 내가 배 불러서 하나님을 모른다 여호와가 누구냐 할까 하오며 혹 내가 가난하여 도둑질하고 내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褻瀆) 할까 두려워함이니이다."
우리의 삶의 주체는 하나님이시며 우리는 끝까지 주님을 의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하나님 없이는 단 하루도 단 한 시간도 단 일분도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아멘 주 예수여 오시옵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