딤전 2:1-3
그러므로 내가 첫째로 권하노니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懇求)와 기도(禱告)와 도고(代求)와 감사를(祝謝) 하되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敬虔) 단정함으로(端正) 고요하고 평안한(平安無事) 생활을 하려 함이라 이것이 우리 구주 하나님 앞에 선하고(好) 받으실 만한 것이니(悅納),
간구(懇求) 간절히 원하다. 간청하다.
긴박한 상황에서의 어떤 특별한 성취를 위한 탄원을 의미한다.
1) 출 32:11"모세가 그의 하나님 여호와께 구하여(懇求) 이르되 여호와여 어찌하여 그 큰 권능과 강한 손으로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내신 주의 백성에게 진노하시나이까."
'여호와께' 문자적으로는 '여호와의 면전에서'란 뜻. 이는 모세가 중보자로서 백성들의 죄를 위해 간절히 기도한 사실을 암시한다. 모세의 간절한 기도는 하나님의 마음을 움직이게 할 만큼 간절했음을 보여준다.
2) 신 3:23"그 때에 내가 여호와께 간구(懇求)하기를, "
모세는 가나안을 눈앞에 두고 하나님께 약속의 땅에 들어가게 해달라고 간구한다. 모세의 간구에도 하나님은 허락지 아니하신다.
3) 삼하 12:16"다윗이 그 아이를 위하여 하나님께 간구(懇求)하되 다윗이 금식하고 안에 들어가서 밤새도록 땅에 엎드렸으니, "
다윗의 죄로 밧세바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기는 죽어감에 다윗이 간절히 금식하며 하나님께 기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아기가 죽자 다윗은 하나님의 주권적인 뜻 앞에 겸손하게 무릎 꿇었다. 다윗의 회개는 단지 죄의 뉘우침을 넘어 선한 양심을 회복하고 하나님의 말씀에 절대 순종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금식'은 '음식을 전혀 먹지 않는 행위를 뜻함. 자신의 생명을 부인하고 오직 주께 의지한다는 의미이다.
4) 히 5:7"그는 육체에 계실 때에 자기를 죽음에서 능히 구원하실 이에게 심한 통곡과 눈물로 간구와(懇求) 소원을 올렸고 그의 경건하심으로 말미암아 들으심을 얻었느니라."
주님은 신성과 인성을 모두 가지고 계신 분이시다. 인성이신 주님은 인간과 똑같이 지금의 상황을 느끼고 닥친 어려움을 아시기 때문에 하나님께 간구하시되 통곡과 눈물로 간구하심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데 주님의 기도가 받아들여 짐을 알 수 있다.
기도(禱告)
'... 을 향하여'(프로스)와 '소원하다'(유코아니)의 합성어로 마음의 중심이 주님을 향하여 바라는 것. 그리고 대체로 모든 일반적인 기도를 가리킨다.
약 5:13"너희 중에 고난 당하는 자가 있느냐 그는 기도(禱告)할 것이요 즐거워하는 자가 있느냐 그는 찬송할지니라."
'고난 당하는'은 '괴롭게 하다'와 '고통'의 합성어. 이는 성도들이 예수에 대한 믿음 때문에 당하는 곤경을 뜻한다.
도고(代求)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서 기도함. 즉 중보기도 또는 하나님께 담대히 나아갈 수 있는 자유롭고도 친밀한 기도를 가리킨다.
1) 사 53:12"그러므로 내가 그에게 존귀한 자와 함께 몫을 받게 하며 강한 자와 함께 탈취한 것을 나누게 하리니 이는 그가 자기 영혼을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하며 범죄자 중 하나로 헤아림을 받았음이니라 그러나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담당하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代求)하였느니라."
메시야의 속죄로 주님이 우리의 죄를 대속하시고 세상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는 거룩한 의의를 지닌다.
2) 렘 18:20"어찌 악으로 선을 갚으리이까마는 그들이 나의 생명을 해하려고 구덩이를 팠나이다 내가 주의 분노를 그들에게서 돌이키려 하고 주의 앞에 서서 그들을 위하여(代求) 유익한 말을 한 것을 기억하옵소서."
3) 약 5:16"그러므로 너희 죄를 서로 고백하며(代求) 병이 낫기를 위하여 서로 기도하라 의인의 간구는 역사하는 힘이 큼이니라."
기도는 성도들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다. 특별히 고난당한 자를 위한 기도와 병든 자를 위한 기도에 대하여 서로 기도함을 가르친다. 믿음의 사람의 간구는 하나님의 응답을 가져온다.
감사(祝謝)
과거의 하나님의 은총에 대한 '감사의 기도'를 뜻한다.
임금들과 높은 지위에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하여 하라.
왕을 잘못 세웠을 때에는 그 개인에게도 불행한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이 원하시고 계획하신 왕이 세움을 받았을 때에는 첫째로 하나님이 기뻐하시고 백성들에게는 평안함과 안정된 생활이 보장되는 것이다.
사울은 처음에는 겸손하였다. 그는 부끄러움을 탔고 초대 왕으로서 힘들었을 때도 많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하나님보다 백성을 두려워 함으로 하나님의 버림을 받고 죽임을 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윗은 겸손하고 그 중심이 하나님을 향하여 있었다. 범죄 하지 않으려 노력했고 범죄 하더라도 바로 회개하는 지혜의 왕이었다. 그의 시대로 들어오면서 그의 아들 솔로몬 때에 전성기를 맞이함을 볼 수 있다.
우리는 미국의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을 위대한 대통령 중의 한 사람으로 보고 있다. 그는 국정을 바로 세우기 위해 날마다 무릎 꿇고 기도하며 하나님께 모든 것을 묻고 정치한 사람이다. 우리는 그렇게 하나님께 붙들림 받아 하나님의 뜻을 묻고 기도하는 지도자가 필요하다. 그런 지위에 있는 자를 위해서 우리 또한 기도하여야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의 삶이 평안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가 모든 경건과(敬虔) 단정함으로(端正) 고요하고 평안한(平安無事) 생활을 하려 함이라
경건과(敬虔)
1) 벧후 2:9"주께서 경건한 자는 시험에서 건지실 줄 아시고 불의한 자는 형벌 아래에 두어 심판 날까지 지키시며, "
심판과 구원의 결론이다. 하나님께서는 경건한 자를 시련 속에서 연단하시며 보존하신다.
2) 딛 2:11-12"모든 사람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은혜가 나타나 우리를 양육하시되 경건하지 않은 것과 이 세상 정욕을 다 버리고 신중함과 의로움과 경건함으로 이 세상에 살고, "
'버리고'는 단번에 모든 악한 행위를 벗어 버리는 것을 의미함. 곧 신자는 수세시에 모든 죄로부터 해방되었음을 가리킨다.
'경건치 않은 것'은 불신앙적인 요소이며, '세상 정욕'은 하나님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되는 '세상적인 욕망'으로서 세상의 쾌락과 악독과 다툼, 소유욕 등을 의미한다.
경건치 않은 것과 정욕을 다 버리고 오직 신중함과 의로움과 경건함으로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말씀에 경외와 순종으로 섬겨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단정함으로(端正)
'중간의'란 뜻의 '메소스'에서 유래. '정직한', '존경받을 만한'의 의미.
1) 롬 13:13"낮에와 같이 단정히 행하고 방탕하거나 술 취하지 말며 음란하거나 호색하지 말며 다투거나 시기하지 말고, "
'단정히'는 '좋은'과 '모양'의 합성어로 절제 있고 질서 있는 질서있는 생활 태도를 가리키므로 무절제한 생활을 해서는 안된다.
2) 살전 4:12"이는 외인에 대하여 단정히 행하고 또한 아무 궁핍함이 없게 하려 함이라."
'단정히'는 원래는 정직하게 거룩한 재정 보고서를 나타내는 말로서, '어울리게', '품위 있게'란 뜻. 곧 비그리스도인들 앞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생활 전반에 걸쳐서 모범이 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고요하고 평안한(平安無事) 생활을 하려 함이라
1) 창 26:29"너는 우리를 해하지 말라 이는 우리가 너를 범하지 아니하고 선한 일만 네게 행하여 네가 평안히(平平安安) 가게 하였음이니라 이제 너는 여호와께 복을 받은 자니라."
아버지 아브라함에 이어 그의 아들 이삭까지 하나님의 축복을 본 그랄 족장은 그에게 두려움을 가지게 되었다.
2) 출 18:23"네가 만일 이 일을 하고 하나님께서도 네게 허락하시면 네가 이 일을 감당하고 이 모든 백성도 자기 곳으로 평안히(平平安安) 가리라."
이것이 우리 구주 하나님 앞에 선하고(好) 받으실 만한 것이니(悅納),
모든 사람들을 위한 기도는 하나님 앞에 합당한 것이다. 즉 모든 사람을 위한 선한 기도는 하나님 앞에 상달되며 그것은 하나님께서 응답하여 주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