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

고전 15:9 나는 사도 중에 가장 작은 자라

by YEOLBI 2022. 3. 11.
728x90
반응형

고전 15:9

 

나는 사도 중에 가장 작은 자라 나는 하나님의 교회를 박해하였으므로 사도라 칭함 받기를 감당하지 못할 자니라.

 

 

예수님께서는 자신을 따르는 자 중에 12명을 사도로 부르신다.(마 10:2-4)

사도직의 특징은 예수님의 공생애 때 같이 했던 사람들이다.

후에 가룟 유다가 예수님을 팔고 죽으므로 예수님 부활 후 맛디아로 채운다.

바울의 경우는 특별하다.

그는 예수님의 사역에 동참하지는 않았지만 다메섹 도상에서 부름 받고 교회들로부터 사도로 인정을 받았다.

그는 부활하신 주님으로부터 직접 사도직을 위임받았다고 주장한다.(고전 9:1, 15:8, 갈 1:15-17)

그의 사역 또한 12 사도들처럼 하나님의 자비로운 인도와 보호하에서 이루어졌다.

바울은 부활하신 주님을 이방인에게 증거 하도록 보냄을 받는 선택된 마지막 사도였다.

사도의 직분은, 특수한 사명자로서,

예수께로부터 복음을 통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시키라는 명령을 받은 자들이다.(마 10:1; 28:18-20)

믿음으로 간절히 기도하는 자들이다.(행 11:23-25; 13:2-5; 46-52; 14:1-7; 21:23)

교회의 규범과 치리를 한다.(마 18:18)

이들은 이스라엘 12지파를 대신하는 신약 교회의 대표자들이며, 지도자들이다.

 

바울은 율법 아래 매여 있던 다소 출신자였다.

스데반이 돌에 맞아 죽을 때에 증인들이 옷을 벗어 사울의 발 앞에 두었을 때에, 사울은 스데반이 죽임 당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했던 자이다. 

거기에 더하여 교회를 박해하기 위해 교인들을 옥에 넘겼고, 다메섹 여러 회당에 가져갈 공문을 받아 가다가 다메섹 도상에서 주님의 음성을 듣고 개종한다.

그는 특별히 이방인들을 위한 전도자요 사도로 알려진다.

그는 사도 중에 작은 자라고 하는 것은 과거에 하나님의 교회를 박해했던 자였기 때문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더 겸손해지는 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는 '만삭 되지 못하여 난 자'라고 자신을 나타내고 있다.

그런 자신을 불러주신 것에 대하여 하나님의 은혜라고 고백하고 있다.

그가 복음 사역을 감당하면서 겪는 수많은 고난과 어려움 속에서도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이러한 신앙 자세 때문이었다.

 

 

엡 3:8"모든 성도 중에 지극히 작은 자보다 더 작은 나에게 이 은혜를 주신 것은 측량할 수 없는 그리스도의 풍성함을 이방인에게 전하게 하시고, "

'이 은혜'는 '은혜' 앞뒤에 정관사와 3인칭 대명사가 붙어서 유일한 은혜임을 강조한다.

'성도'란 '신실하며 헌신된 자들', '거룩한 자들', '하나님께로 구별된 자들'을 말한다.

성도는 세상이 감당치 못한 자들이기도 하다.

성도라는 지위는 하나님께서 부르셨기 때문에 주어진 것이다.(롬 1:7)

하나님께서는 바울에게 그리스도의 풍성한 은총과 사랑을 이방인들에게 전해주기 위하여 복음 사역을 위탁하셨고 주님을 영접한 자들도 유대인들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대 우주적인 역사 속에 참여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딤전 1:15"미쁘다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이 말이여 그리스도 예수께서 죄인을 구원하시려고 세상에 임하셨다 하였도다 죄인 중에 내가 괴수니라."

성경에서 죄인은 예수를 안 믿는 자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요 9:31"하나님이 죄인의 말을 듣지 아니하시고 경건하여 그의 뜻대로 행하는 자의 말은 들으시는 줄을 우리가 아나이다."

요 3:18에서는 주님을 안 믿는 자들에 대하여 하나님의 독생자의 이름을 믿지 아니하므로 벌써 심판을 받은 자들이라고 말씀하고 계시다.

시편 1편은 1절에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라고 되어있고 그들은 의인의 모임에 못 들어간다고 되어 있다.

주님이 오신 목적은 이러한 죄인들을 부르러 왔다고 말씀하고 계시다.(마 9:13; 막 2:17)

눅 5:32는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노라'고 말씀하고 계시다.

그러므로 사도바울은 이 말은 모든 사람이 받을 만한 말이라고 하며 '자신은 죄인 중에 괴수'라고 표현하고 있다.

그는 회심한 지 수년이 지난 후에도 자신의 과거를 깊이 회개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하나님의 긍휼을 입은 까닭에 대해,

16절 주를 믿어 영생 얻는 자들에게 본을 보이기 위함이고,

17절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을 돌리기 위해 자신을 구원하셨다고 결론짓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