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30:1-5
여호와께서 이르시되 패역한(悖逆) 자식들은 화 있을진저 그들이 계교를 베푸나 나로 말미암지 아니하며
맹약을 맺으나 나의 영으로 말미암지 아니하고 죄에 죄를 더하도다(罪上加罪).
그들이 바로의 세력 안에서 스스로 강하려 하며 애굽의 그늘에 피하려 하여 애굽으로 내려갔으되
나의 입에 묻지 아니하였도다(沒有求問我).
그러므로 바로의 세력이 너희의 수치가(羞辱) 되며 애굽의 그늘에 피함이 너희의 수욕(慚愧)이 될 것이라.
그 고관들이 소안에 있고 그 사신들이 하네스에 이르렀으나,
그들이 다 자기를 유익하게 하지 못하는 민족으로 말미암아 수치(蒙羞)를 당하리니 그 민족이 돕지도 못하며
유익하게도 못하고 수치가(羞恥) 되게 하며 수욕(凌辱)이 되게 할 뿐임이니라.
죄에 죄를 더하는 것은 하나님께 묻지 아니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하나님께 기도하지 아니하고 하는 행위, 기도하였어도 멋대로 행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님께서는 일찍이 이스라엘에게 애굽과는 어떠한 종류의 동맹이나 결속도 체결하지 말 것을 엄중히 경고한 바 있다.
애굽은 우상 숭배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그들로 인해 이스라엘이 범죄 하지 않기를 바라셨다.
거기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을 버린 죄에 더하여 애굽에게 도움을 구걸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패역한(悖逆) 거역하다. 반역하다. 반항하다.
'패역한'은 '고집이 센 짐승'을 가리킴. 복종하기를 거부하고 고집이 세고 정욕적임을 의미한다.
1) 수7:2-5 아이성 전투에서 하나님의 뜻을 묻지 않고 정탐꾼들의 말만 믿고 전투에 임하였다가 패한 사건이다.
수 9:3-15 여호수아가 기브온 거민들의 속임에 그들과 화친할 때에 하나님께 묻지 아니하고 행하므로 이스라엘에 걸림돌이 되는 사건이다.
하나님의 뜻을 묻지 아니하고 성급하게 맺은 조약이 잘못된 것임을 강조한다.
2) 삼하 24:1-9 다윗의 인구조사
다윗은 인구 조사를 통해 자기의 세력과 번영을 확인하려고 하였고, 이는 다윗의 교만을 반영한다.
이와 같은 다윗의 행위는 하나니을 배반하는 것이었다.
그 당시 합법적인 인구조사는 제사장들이 감당하는 일이었고, 이는 조사받은 각 사람의 생명의 속전을 성소에 봉헌함으로 자신들이 하나님께 속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나 다윗의 인구조사는 군사적인 목적과 왕권 강화를 위해 요압으로 하여금 인구 조사를 하게 하였다.
형벌은 3일간의 온역 재앙으로 백성의 죽은 자가 칠만 인이었다.
3) 민 20:2-13 모세의 므리바 물 사건이다.
8절에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이스라엘 목전에서 반석에게 명하여 물을 내라고 하셨다.
그러나 모세는 11절에 반석을 두 번 쳐서 물을 내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기적을 보이시고 당신의 능력과 영광을 높이 드러내고자 하셨으나 모세가 백성에게 혈기를 냄으로 오히려 하나님의 인내와 자비와 영광과 거룩성을 파괴하고 말았다.
이 일로 모세는 가나안 땅에 들어갈 수 없었다.
4) 삼상 28:8-19 사울이 죽은 사무엘을 신접한 여인을 통하여 불러올림.
3절에 사울은 신접한 자나 박수는 쫓아내거나 죽였는데 자신은 신접한 여인을 통하여 죽은 자의 영혼 사무엘을 부른다.
오늘날도 미래에 대한 불확실함으로 유령을 통하여 점치려는 자들이 많다.
그러나 하나님은 미래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라도 알 수 없게 하셨음을 인식한다면 과거나 오늘날 행해지는 점치는 행위는 다 거짓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들의 결과는
'수치(羞辱)' 원뜻은 '자신이나 믿는 대상의 실패로 인해 불명예를 당하다'이다. 여기서는 공적이고 치명적인 조롱거리가 됨을 뜻한다.
창 34:14 야곱의 딸 디나가 세겜에게 더럽힘을 당하는 사건이다.
수욕(慚愧) 면구스럽다. 부끄럽다.
삼하 19:1-7 다윗이 아들 압살롬에 의해 쫓겨난 사건이다.
오늘날도 마찬가지이다.
성도는 쉬지 말고 기도하여야 한다.
우리의 삶의 작은 것까지도 주님께 간구하며 기도하여야 한다.
걸어 다닐 때에도, 누군가를 만날 때에도, 어떤 일을 행할 때에도, 먹고 마실 때에도,
우리의 삶에 구체적으로 역사하시는 주님이 나의 주인이셔야 한다.
하나님이 허락하실 때 우리는 많은 것을 즐길 수 있고 누릴 수 있다.
하루의 시작을 기도로 시작하고 하루의 마감을 기도로 마감하여야 한다.
삼하24:1"여호와께서 다시 이스라엘을 향하여 진노하사 그들을 치시려고 다윗을 격동시키사 가서 이스라엘과 유다의 인구를 조사하라 하신지라."
'다시'라는 단어가 나오고 있다.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향하여 진노하시는 데 다시라는 단어는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격동케 한 사건이 있다는 얘기이다.
그리고 다윗을 격동시키사 하나님은 다윗이 하나님의 방법이 아닌 인간의 방법, 다윗의 교만으로부터 오는 방법으로 인구조사를 함으로 하나님의 분노를 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