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성경인물

창 32:27-28 야곱(이스라엘)

by YEOLBI 2022. 6. 23.
728x90
반응형

창 32:27-28

 

그 사람이 그에게 이르되 네 이름이 무엇이냐 그가 이르되 야곱이니이다. 그가 이르되 네 이름을 다시는 야곱이라 부를 것이 아니요 이스라엘이라 부를 것이니 네가 하나님과 및 사람들과 겨루어 이겼음이니라.

 

이삭은 리브가에게서 야곱과 에서를 얻는다. 야곱은 에서의 쌍둥이 동생이다. 사냥하고 돌아온 에서에게 야곱은 떡과 팥죽으로 에서의 장자권을 산다. 후에 야곱은 아버지 이삭으로부터 에서의 축복을 가로챈다. 야곱은 형 에서를 피해 외삼촌 라반이 있는 곳으로 피해 길을 떠난다. 그는 하란으로 가는 도중 벧엘에서 꿈에 하나님을 만나고 하나님께 서원기도를 드리게 된다. 외삼촌 라반의 두 딸과 두 여종을 아내로 맞이하게 되고 그는 열둘 아들을 얻는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형 에서가 사람들을 이끌고 자신에게 오는 것을 두려워하여 얍복강가에 혼자 남아 하나님께 기도한다. 그때 그의 허벅지 관절이 어긋나게 된다. 야곱은 거기서 이스라엘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야곱의 이름의 뜻은 '뒤꿈치를 잡다', '빼앗다'라는 뜻이다. 그는 형과 아버지를 속였듯이 자신도 외삼촌으로부터 그리고 10아들로부터 속임을 당한다. 그가 형과 아버지를 속여가면서 장자권을 가지고자 했던 것은 장자권의 축복은 가나안의 기업뿐만 아니라 그의 후손들의 구원에 대한 약속까지도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생애를 보면 투쟁의 삶이었다. 장자권을 차지하기 위해 외삼촌 라반에게로 쫓겨나면서도 아버지와 형을 속였고, 라반에게 속임을 당하였지만 막판에 외삼촌을 속여서도 재산을 불리게 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브니엘에서 하나님께 축복해 달라고 하나님과 씨름하는 야곱을 볼 수 있다. 그는 하나님의 축복이 무엇을 말하는지 알고 있었고 진리가 무엇인지 하나님의 한마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하게 아는 자였다. 야곱의 생애를 보면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자비로우심과 은혜로우심을 증명해 보인 것이다.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그의 이름 이스라엘은 그 민족을 대표하는 이름이 되었다.

 

이스라엘

'사라'(우세하다. 싸우다. 왕비)와 '엘'(전능자 하나님)이 결합된 형태이다. 하나님이 통치하신다는 뜻이 있으나, 대체로 '하나님과 씨름하여 이긴 자'를 의미한다.

 

'겨루어'는 힘. 동력을 공급하다는 의미를 지님. 인간으로서 동원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성경에 나오는 야곱

 

1)  시 46:7"만군의 여호와께서 우리와 함께 하시니 야곱의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로다."

'만군의 여호와'는 군대를 주장하는 하나님이란 뜻. 하나님의 위대한 능력을 강조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힘이 있다. 그 말씀은 모든 대적을 물리치실 수 있다. 그러므로 전능하시고 무소부재하신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시고 우리가  하나님의 능력에 의지하면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안전과 삶이 보장된다. 

 

2)  시 135:4"여호와께서 자기를 위하여 야곱 곧 이스라엘을 자기의 특별한 소유로 택하셨음이로다."

하나님의 주권에 의해 이스라엘 즉 야곱을 택하신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계를 특별한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이스라엘의 조건이나 자격과 관계없이 하나님의 신실하시고 자비로우신 은혜로 인하여 구원을 받게 되는 것을 말하다.

 

3)  시 146:5"야곱의 하나님을 자기의 도움으로 삼으며 여호와 자기 하나님에게 자기의 소망을 두는 자는 복이 있도다."

삶의 현장에서 어려움과 환난을 당할 때에 우리를 도우실 분은 하나님 한분이시다. 하나님은 우리의 피난처시고 보호자시요 인도자이시다. 그러므로 우리의 희망을 하나님께 두는 것이 옳다.

 

4)  사 43:1"야곱아 너를 창조하신 여호와께서 지금 말씀하시느니라 이스라엘아 너를 지으신 이가 말씀하시느니라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구속하였고 내가 너를 지명하여 불렀나니 너는 내 것이라."

이스라엘은 철저히 하나님의 주권하에 선택된 민족이다. 그러므로 그런 하나님께 소망을 두고 오직 하나님만 바라보라고 의지하라고 권면하고 있다.

 

5)  롬 9:13"기록된 바 내가 야곱은 사랑하고 에서는 미워하였다 하심과 같으니라."

 

6)  히 11:21"믿음으로 야곱은 죽을 때에 요셉의 각 아들에게 축복하고 그 지팡이 머리에 의지하여 경배하였으며, "

'경배'는 지극한 존경을 표시하다. 고대 페르시아에서는 같은 신분끼리는 입에, 한 단계 아랫사람은 볼에, 노예는 상대방의 발에 입을 맞추어 인사했다.

하나님을 믿고 말씀에 순종하였던 자들은 모두 환난이나 고난 속에서도 소망을 잃지 않고 오직 하나님만을 의지하고 신뢰함으로 하나님으로부터 모든 약속이 성취되었음을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