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교

딤전 4:6-11 경건의 연습

by YEOLBI 2022. 3. 23.
728x90
반응형

딤전 4:6-11

 

네가 이것으로 형제를 깨우치면(提醒)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일꾼이 되어 믿음이 말씀과 네가 따르는 좋은 교훈으로 양육을 받으리라. 망령되고 허탄한 신화를(世俗的言語和老婦荒渺的話) 버리고 경건(敬虔)에 이르도록 네 자신을 연단하라(操練). 육체의 연단은 약간의 유익이 있으나 경건(敬虔)은 범사에 유익(佩服) 하니 금생과 내생에 약속이(應許) 있느니라. 미쁘다 이 말이여 모든 사람들이 받을 만하도다. 이를 위하여 우리가 수고하고 힘쓰는 것은 우리 소망을 살아 계신 하나님께 둠이니 곧 모든 사람 특히 믿는 자들의 구주시라. 너는 이것들을 명하고 가르치라.

 

 

깨우치면(提醒) (잊어버리지 않게) 주의를 환기시키다. 깨닫게 하다. 조언하다. 눈뜨게 하다.

'눈을 뜨다', '잠깨다', '분발시키다'는 뜻을 가짐. 상징적으로 죄와 나태로 어두워진 영혼을 각성시킴을 의미한다.

 

1.  사 43:25-26"나 곧 나는 나를 위하여 네 허물을 도말하는 자니 네 죄를 기억하지 아니하리라. 너는 나에게 기억이 나게 하라(提醒) 우리가 함께 변론하자 너는 말하여 네가 의로움을 나타내라.

허물은 범죄를 가리킨다.

죄란 거룩하신 하나님께 불순종하는 모든 행위나 마음의 상태를 가리킨다.

죄에 대한 용어는 다음과 같다. 

하나님에 대하여 불순종하다, 악을 행하다,  표적을 벗어나다, 반역이라는 뜻이다.

하나님은 렘 2:13 두가지 악을 말씀하고 계시다.

첫째는 생수의 근원인 하나님을 버린 것과,

둘째는 물을 가두지 못한 터진 웅덩이를 판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다.(우상숭배를 가리킨다.)

그렇다면 변론하되 변론하기 위해 네가 행한 행위를 기억하고(提醒) 네가 옳았는지 틀렸는지 얘기하자고 말씀하신다.

이렇게 하는 네 행위가 옳았다면 그것의 이유를 분명히 나타내 보이라는 말씀이다.

틀렸다고 생각하고 돌아온다면 '네 죄를 기억지 않겠다'라고 말씀하신다.

이는 즉 회개하는 자들에게 은총을 베푸시겠다는 것이다. 

 

2.  사 50:4"주 여호와께서 학자들의 혀를 내게 주사 나로 곤고한 자를 말로 어떻게 도와 줄 줄을 알게 하시고 아침마다 깨우치시되(提醒) 나의 귀를 깨우치사(提醒) 학자들 같이 알아듣게 하시도다."

'학자의 혀'는 어리석은 자로 하여금 말씀을 잘 깨닫도록 조화있게 설명해 줄 수 있는 계시의 전달자로서 이 능력을 의미한다. 즉 이는 오직 예수 그리스도시며 또한 주님을 영접한 자들에게도 주어지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그러므로 학자의 혀를 가진 자는 어려움과 도움을 필요로하는 자에게 어떻게 도와줄 것을 안다.

그들에게 어떻게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살아야 하는지 죄로부터 고통당하는 자들에게 그 고통에서 벗어나는 법을 권면할 수 있다.

5절 주 여호와께서 나의 귀를 여셨으므로 내가 거역하지도 아니하며 뒤로 물러가지도 아니하며"

이러한 깨우침을 받은 자들은 말씀에 순종하게 되고 어떤 어려움도 그들을 막을 수 없으므로 말씀에 끝까지 순종함으로 의롭다 인정을 받을 수 있다.

 

망령되고 허탄한 신화를(世俗的言語和老婦荒渺的話)

세상(세속)의 언어와 노부인의 터무니 없는 이야기를 말하는데 이는 이단들의 진리에서 벗어난 얘기를 말한다(딤전 1:4).

 

경건(敬虔) 

헌신하는. 하나님께 헌신하며 믿음을 지키는 신실한 자세. 성도가 갖추어야 할 첫 번째 덕목이다.

'경건'은 순결한 양심으로 하나님께 예배할 수 있는 마음을 뜻한다.

 

1. 딤전 3:16"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 그렇지 않다하는이 없도다.~~~~~".

오직 하나님을 바라보는 단순한 마음에서 단순한 삶이 비롯된다.

바울은 하나님 중심으로 삶을 살아간다.

그의 단순한 삶은 하나님이 허락하신 것에 만족하는 삶이다.

그렇지 않고 주님의 말씀과 경건에 관한 교훈을 따르지 아니하면 교만하여져서 투기와 시기와 분쟁과 악한 생각으로 마음이 부패하여지게 되며 다툼이 끊이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마음에 상처를 입고 진리와 멀어진다.

성도들은 이러한 것들을 피하고 자신을 지키므로 영생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6:6에서 바울은 자족을 얘기하는데 '자족'은 분수을 지키어 만족할 줄을 알다.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는 경건의 큰 이익이 있다.

 

2.  벧전 1:3"그의 신기한 능력으로 생명과 경건에 속한 모든 것을 우리에게 주셨으니 이는 자기의 영광과 덕으로써 우리를 부르신 이를 앎으로 말미암음이라.

성도는 주님을 영접하므로 주의 자녀가 되고 주의 보혈로 구원을 얻은 자이다.

그러나 구원의 완성은 삶의 현장에서 끊임없이 다듬어져야 하고 천국 시민으로 되어 가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경건은 하나님을 아는 것과 하나님의 성품에 참예하는 자가 되는 것이다.

하나님을 아는 것은 세상적 지식이 아닌 한 차원 높은 하나님의 뜻과 그 진리에 관한 지식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성품에 참예한다는 것은 5-7절('믿음에 덕을, 덕에 지식을, 지식에 절제를 , 절제에 인내를, 인내에 경건을, 경건에 형제 우애를, 형제 우애에 사랑을 공급하라.') 구체적인 도덕적 생활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경건한 생활을 한 자는 주께서 건지시고 불의한 자는 형벌 아래 두겠다고 말씀하고 계시다.(2:9)

순결한 마음으로 하나님께 예배드릴 수 있는 마음을 가지기 위해서는 경건의 연습은 꼭 필요하다.

 

연단하라(操練) 연습하다. 훈련하다.

 

유익(佩服) 감탄하다. 감복하다.

'육체의 연습'은 몸을 단련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애쓰는 것으로 하나님이 주신 몸이니 함부로 하지 않는 것이 옳다.

사는 동안 건강하게 자신을 지키는 것은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잠시동안의 유익은 있으나 영원하지 않다.

육체의 약간의 유익을 위해서도 날마다 애쓰고 수고하듯이 경건의 연습도 마찬가지이다.

 

금생과 내생에(今生和來生)

경건에 힘쓰는 자는 심령의 평안과 기쁨을 누릴 뿐 아니라 장차 영원한 천국에서 영생을 누리게 됨을 의미한다.

세상 환경과 상관없이 살면서 하나님과 동행되어지는 삶은 은혜와 평화가 넘치는 삶이며 죽은 후에도 죽음의 관문을 통하여 영원한 영생을 누림을 말한다.

 

약속(應許) 승낙하다. 허가하다. 허용하다.

경건은 범사에 유익하니 그러한 삶을 산 모든 성도들에게 하나님께서는,

'가장 훌륭한 약속'으로 성도에게 주어진 구원과 영생 그리고 천국의 약속을 허락하시겠다는 뜻이다.

반응형